충청북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청북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충청북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1925년부터 1944년까지 인구가 꾸준히 증가했으며, 1944년에는 조선인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행정 구역은 청주군, 보은군 등 10개 군으로 구성되었고, 각 군은 여러 면으로 세분화되었다. 역대 도지사 목록과 사법, 경찰, 세무, 전매, 기상, 철도, 도로, 광업, 종교, 기업,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며, 주요 철도 노선과 기업, 신사, 그리고 출신 유명인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역사 - 한산주
한산주는 삼국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한반도 중부 지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하고 신주를 설치하면서 한산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1개 소경, 27개 군, 46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 충청북도의 역사 - 충청북도의 코로나19 범유행
충청북도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2월 증평군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하여, 2022년에 확진자가 급증하고 2023년 5월까지 105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전라북도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의 지배 아래 놓인 전라북도 지역으로, 조선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일본인이 소수를 이루었으며, 부, 군,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과 전주지방법원, 전주형무소 등의 사법 및 치안 기관, 그리고 전주지방전매국, 군산세무서 등의 경제 기관이 설치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활동과 철도, 도로, 항만을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하고 일본어 신문과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었으며,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전주신사를 비롯한 여러 신사가 설치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경상남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는 인구가 증가하고 농림수산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철도와 항만이 주요 교통 시설로 이용되었고, 부산, 마산 등지에 신사가 있었으며, 조선방송협회 방송국이 운영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역사 - 행정중심복합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도시계획 지구로,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당시 14개의 법정동으로 시작하여 도시 조성에 따라 법정동이 추가되었으며, 최신 행정구역 정보는 세종특별자치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역사 - 신행정수도법 위헌 확인 결정
신행정수도법 위헌 확인 결정은 헌법재판소가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대해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헌법에 따라 헌법 개정 없이 수도 이전을 금지한 사건으로, 관습헌법의 존재와 효력을 인정하여 헌법학계와 사회적으로 논쟁을 일으켰다.
충청북도 (일제강점기) | |
---|---|
지도 | |
![]() | |
일반 정보 | |
행정 구역 명칭 | 충청북도 |
원어 명칭 (한글) | 충청북도 |
원어 명칭 (한자) | 忠淸北道 |
일본어 표기 (평가나) | ちゅうせいほくどう |
일본어 표기 (로마자) | Chūseihoku-dō / Chungcheongbuk-do |
약칭 | (정보 없음) |
국가 | 한국 (일제강점기) |
상위 행정 구역 | (정보 없음) |
하위 행정 구역 | (정보 없음) |
ISO 3166-2 | (정보 없음)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정보 없음) |
나무 | (정보 없음) |
꽃 | (정보 없음) |
새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통계 | |
통계 연도 | (정보 없음) |
면적 | (정보 없음) |
총 인구 | (정보 없음) |
남성 인구 | (정보 없음) |
여성 인구 | (정보 없음) |
인구 밀도 | (정보 없음) |
가구 수 | (정보 없음) |
2. 인구
1944년 인구 조사
1936년 거주 호구 조사
3. 행정 구역
1945년 당시 충청북도는 한반도 남서부 충청도 지방의 동부에 해당하는 내륙 지역이었다. 북서쪽으로는 경기, 북동쪽으로는 강원도, 동쪽으로는 경상북도, 남쪽으로는 전라북도, 서쪽으로는 충청남도와 접했다.
3. 1. 군
군명 | 구성 |
---|---|
청주군 | 청주읍, 사주면, 낭성면, 미원면, 가덕면, 남일면, 남이면, 문의면, 현도면, 부용면, 강서면, 강내면, 강외면, 옥산면, 오창면, 북이면, 북일면 |
보은군 | 보은읍, 속리면, 마로면, 탄부면, 삼승면, 수한면, 회남면, 회북면, 내북면, 산외면 |
옥천군 | 옥천읍, 동이면, 안남면, 안내면, 청성면, 청산면, 이원면, 군서면, 군동면 |
영동군 | 영동읍, 용산면, 황간면, 황금면, 매곡면, 상촌면, 양강면, 용화면, 학산면, 양산면, 심천면 |
진천군 | 진천읍, 덕산면, 초평면, 문백면, 백곡면, 이월면, 만승면 |
괴산군 | 괴산읍, 감물면, 장연면, 상모면, 연풍면, 칠성면, 문광면, 청천면, 청안면, 증평면, 도안면, 사리면, 소수면, 불정면 |
음성군 | 음성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금왕면, 생극면, 감곡면 |
충주군 | 충주읍, 사미면, 이류면, 주덕면, 신니면, 노은면, 앙성면, 가금면, 금가면, 동량면, 산척면, 엄정면, 소태면 |
제천군 | 제천읍, 금성면, 청풍면, 수산면, 덕산면, 한수면, 백운면, 봉양면, 송학면 |
단양군 | 단양읍, 대강면, 가곡면, 영춘면, 어상천면, 매포면, 적성면 |
4. 역대 도지사
호적 | 이름 | 한자 표기 | 취임 | 퇴임 | 비고 |
---|---|---|---|---|---|
내지인 | 스즈키 다카시 | 鈴木 隆일본어 | 1910년 10월 1일 | 1916년 3월 28일 | 충청북도 장관 |
조선인 | 유혁로 | 柳赫魯 | 1916년 3월 28일 | 1917년 6월 13일 | 충청북도 장관 |
조선인 | 장헌식 | 張憲植 | 1917년 6월 13일 | 1921년 2월 12일 | 1919년 8월부터 충청북도지사 |
내지인 | 요네다 진타로 | 米田 甚太郎일본어 | 1921년 2월 12일 | 1923년 2월 24일 | |
조선인 | 박중양 | 朴重陽 | 1923년 2월 24일 | 1925년 3월 31일 | |
조선인 | 김윤정 | 金潤晶 | 1925년 3월 31일 | 1926년 8월 14일 | |
조선인 | 한규복 | 韓圭復 | 1926년 8월 14일 | 1929년 11월 28일 | |
조선인 | 홍승균 | 洪承均 | 1929년 11월 28일 | 1931년 9월 23일 | |
조선인 | 남궁영 | 南宮營 | 1931년 9월 23일 | 1935년 4월 1일 | |
조선인 | 김동훈 | 金東勳 | 1935년 4월 1일 | 1939년 4월 26일 | |
조선인 | 유만겸 | 兪萬兼 | 1939년 4월 26일 | 1940년 9월 2일 | |
조선인 | 이토 야스아키라 | 伊藤 泰彬일본어 | 1940년 9월 2일 | 1942년 10월 23일 | 윤태빈(尹泰彬)에서 개명 |
조선인 | 히라마쓰 쇼콘 | 平松 昌根일본어 | 1942년 10월 23일 | 1944년 8월 17일 | 이창근(李昌根)에서 개명 |
조선인 | 마스나가 히로시 | 増永 弘일본어 | 1944년 8월 17일 | 1945년 6월 16일 | 박재홍(朴在弘)에서 개명 |
조선인 | 정교원 | 鄭僑源 | 1945년 6월 16일 | 1945년 8월 15일 | 광복 |
5. 사법
6. 경찰
7. 세무
8. 전매
9. 기상
추풍령 측후소 관련 자료는 1942년 당시의 자료가 남아있다.
10. 철도
11. 도로
1927년 당시 충청북도를 지나는 도로는 다음과 같았다.
12. 광업
13. 종교
- 청주 신사
- 충주 신사
- 보은 신사
- 영동 신사
14. 기업
도내에 본사를 둔 자본금 50만 엔 이상의 기업은 다음과 같다(1940년 기준).
기업명 |
---|
만주 식산 |
고미 주조 |
청주 주조 |
충북자동차 |
남선상사 |
15. 미디어
조선방송협회 청주방송국(호출 부호: JBQK)이 있었다.
16. 출신 유명인
- 조명희 (소설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